Database
GW플랫폼에서는 분석 그룹 단위를 프로젝트로 관리합니다. 프로젝트는 분석 및 서비스의 단위인 앱과 통합 운영 환경 스케줄링인 MLOps로 구성됩니다. MLOps 서비스는 GW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(Tabular-ML, Vision-ML, Operation Routine)로만 구성합니다.
Project Management
Project List
Menubar > Project
분석 및 서비스인 앱과 통합 운영 환경 스케줄링인 MLOps로 구성된 프로젝트 목록를 보여줍니다. 화면 상단의 검색 버튼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검색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프로젝트 이름 | 프로젝트 이름을 표시합니다. |
프로젝트 설명 | 프로젝트의 설명을 표시합니다. |
앱 태그 | 프로젝트에 설치된 앱을 표시합니다. |
설치된 앱 | 프로젝트에 설치된 앱의 총 개수와 ON/OFF 상태의 각 앱의 개수를 표시합니다. |
CPU | 프로젝트에 띄워져있는 서비스 개수를 표시합니다. |
Memory | 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Memory를 표시합니다. |
생성자 | 프로젝트를 추가한 생성자를 표시합니다. |
생성 시간 | 프로젝트 생성 일자와 생성 경과 시간을 표시합니다. |
설정 | 프로젝트 수정, 권한, 삭제하는 설정버튼입니다. |
Create Project
화면 오른쪽 상단의 [추가] 버튼을 통하여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
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프로젝트 이미지 | 프로젝트의 대표 이미지를 설정합니다 |
프로젝트 이름 | 사용할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합니다. |
프로젝트 ID | 프로젝트의 고유 아이디를 설정합니다. |
리소스 쿼터 | 프로젝트의 자원 설정 ([Menubar] > [설정] > [리소스 쿼터]에서 설정 가능) |
라벨 | 프로젝트의 라벨 설정 ([Menubar] > [설정] > [라벨]에서 설정 가능) |
설명 | 프로젝트의 설명을 등록합니다. |
Edit Project
프로젝트 목록 화면에서 변경하려고 하는 프로젝트의 오른쪽 Edit 버튼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정보를 변경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프로젝트 이미지 | 프로젝트의 대표 이미지를 설정합니다 |
프로젝트 이름 | 사용할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합니다. |
프로젝트 ID | 프로젝트의 고유 아이디를 설정합니다. |
리소스 쿼터 | 프로젝트의 자원 설정 ([Menubar] > [설정] > [리소스 쿼터]에서 설정 가능) |
라벨 | 프로젝트의 라벨 설정 ([Menubar] > [설정] > [라벨]에서 설정 가능) |
설명 | 프로젝트의 설명을 등록합니다. |
Delete Project
프로젝트 목록 화면에서 삭제하려고 하는 프로젝트의 오른쪽 Delete 버튼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삭제합니다.

화면에 표시된 키워드를 동일하게 입력한 후 프로젝트를 삭제합니다.
프로젝트를 삭제하는 경우, 반드시 해당 프로젝트의 모든 앱을 삭제해야 합니다.
Project Permission
프로젝트 목록에서 단일 또는 다중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한 프로젝트 전부에 프로젝트 보기, 앱 생성 허용, 프로젝트 수정/삭제 허용 권한을 부여 또는 수정할 수 있으며 이미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권한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.
프로젝트 다중 선택시
프로젝트 앞에 마우스 오버시 책갈피에 [체크박스] 가 있으며 해당 체크박스로 프로젝트를 다중 선택합니다.

목록 상단에 생성되는 [권한] 버튼을 클릭하여 공유할 사용자를 추가합니다.

프로젝트 단일 선택시
각 프로젝트에서 마우스 오버시 권한설정을 클릭하여 공유할 사용자를 추가합니다. 또한, 사용자를 선택하여 프로젝트에 프로젝트 보기, 앱 생성 허용, 프로젝트 수정/삭제 허용 권한을 부여 또는 수정합니다. 이미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는 사용자 목록에서 [권한삭제] 를 클릭하여 권한을 삭제합니다.


프로젝트의 생성자는 기본적으로 모든 권한이 부여되어 있으며 해당 권한은 수정할 수 없습니다. 또한 사용자를 선택하여 프로젝트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 단, 관리자는 모든 권한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
App Management
App List
Menubar > Project > 프로젝트명
프로젝트에 추가된 앱의 목록를 보여줍니다. 화면 상단의 [검색] 버튼을 통해서 앱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.
Create App
화면 상단의 [추가] 버튼을 통하여 신규 앱을 생성합니다.


어플리케이션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앱 이름 | 앱 이름을 설정합니다. |
앱 ID | 앱 아이디를 설정합니다. |
프로젝트ID | 프로젝트 아이디를 표시합니다. |
자원


프로젝트 생성 시 부여된 리소스 쿼터의 설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앱
자원(CPU, Memory)의 최대값이 변경됩니다.
라벨에서는 사용 가능한 노드의
목록을 제공합니다.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리소스 쿼터 - 제한없음 | 리소스를 설정하지 않고 앱을 설치합니다. |
레플리카 | 레플리카의 수, 최대 레플리카의 수는 10입니다. |
CPU | 컨테이너의 CPU (Core) |
Memory | 컨테이너의 Memory (Mi) |
라벨 | 컨테이너가 기동되는 노드의 라벨 (해당 라벨이 적용된 노드에 컨테이너가 자동 할당됩니다.) |
- Memory에서 Mi는 MebiByte(MiB) 단위 입니다. (1MiB = 1,048,576 bytes)
- GW플랫폼의 앱에서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사용하며, 자원 탭 항목에서 각각의 세부 설정을 합니다.
- Request : 요청한 자원이 실행 가능한 노드를 검색하여 해당 노드에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.
- Limit : 자원에 대한 최대 사용량을 제한합니다.
- Limit 값이 Request 보다 작은 경우 :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.
- Limit 값이 Request 보다 높은 경우 : 컨테이너 생성 후 해당 노드에 유휴 자원이 있는 경우 Limit 값까지 자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 관리의 편의상, Limit과 Request값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Edit App
앱 생성 후에 설정된 자원과 권한을 수정할 수 있으며 앱을 시작/정지시킬 수 있습니다.


자원은 현재 기동 되어 있는 앱의 자원 상태를 보여주며 리소스 쿼터에서
정의한 값만큼 수정이 가능합니다.
앱 생성자는 기본적으로 모든 권한이 허용
됩니다. 공유할 사용자를 추가하여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


Delete App
앱의 오른쪽 상단 설정메뉴의 [삭제] 버튼을 통해서 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.

화면에 표시된 키워드를 동일하게 입력한 후 [Delete] 버튼을 클릭하면 앱이 삭제됩니다.
App Information(Deployment, Pod, Service)
Card view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앱 이름 | 앱 이름을 표시합니다. |
즐겨찾기 | 즐겨찾기를 등록/해제합니다. |
설정 | 정지,자원,권한,삭제 설정합니다. |
버전 | 설치된 앱의 버전을 표시합니다. |
상태 | 앱의 ON/OFF 상태를 표시합니다. |
CPU | 사용 중인 CPU를 표시합니다. |
Memory | 사용 중인 Memory를 표시합니다. |
Deployment | 앱의 Deployment 정보를 표시합니다. 이름과 아이콘을 클릭하여 정보를 상세정보를 확인합니다. |
Service | 앱의 Service 정보를 표시합니다. 이름을 클릭하여 Service 주소로 접근하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주소를 복사합니다. |
생성자 | 앱을 추가한 생성자를 표시합니다. |
생성일 | 앱의 생성 일자와 생성 경과 시간을 표시합니다. |
Deployment Information
Deployment와 Pod 정보를 확인합니다.

-
Deployment: 클릭하여 Deployment와 yaml 정보 확인
-
Pods(육각형 아이콘): 클릭하여 Pod, yaml, log 정보 확인, 터미널 연계, Pod 재시작


Service Information
Service 정보를 확인하며 URL 링크 주소 바로가기 및 복사할 수 있습니다.

Job Status
프로젝트에서 생성되는 모든 잡을 표시합니다. 잡의 현황과 상태를 확인하며 필요 시 제거할 수 있습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Name | 잡 이름을 표시합니다. |
Namespace | 잡이 올라온 네임스페이스를 표시합니다. 네임스페이스는 GW의 프로젝트에 해당합니다. |
Completions | 잡의 성공횟수입니다. 잡은 설정된 성공횟수에 도달할때까지 실행되며 기본 성공횟수는 1입니다. |
Age | 잡이 최초 발생 이후 경과 시간을 표시합니다. |
Conditions | 잡의 상태를 표시합니다. |
Pod Status
프로젝트에서 생성되는 모든 파드를 표시합니다. 파드의 현황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제거할 수 있습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Name | 파드 이름을 표시합니다. |
Namespace | 파드가 올라온 네임스페이스를 표시합니다. 네임스페이스는 GW의 프로젝트에 해당합니다. |
Restarts | 파드의 재실행된 횟수입니다. 파드는 서비스의 장애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재실행됩니다. |
Controlled By | 파드의 유형을 표시합니다. |
Node | 파드가 올라온 노드를 표시합니다. |
QoS | 파드가 할당받은 서비스 품질을 표시합니다. |
Age | 파드가 최초 발생 이후 경과 시간을 표시합니다. |
Status | 파드의 상태를 표시합니다. |
Event Log
프로젝트에 추가된 앱 또는 MLOps의 쿠버네티스 관련 이벤트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벤트 로그 행을 클릭하여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Type | 이벤트 타입 - Normal: 일반적인 작업에 의해 생겨난 이벤트 타입 - Warning: 오류 및 실패로 인해 생겨난 이벤트 타입 |
Message | 이벤트 메시지 |
Namespace | 앱 또는 MLOps의 서비스 이름 |
Object | 컨테이너, 서비스등 쿠버네티스의 Object 이름 |
Count | 메시지 발생 개수 |
Age | 이벤트 최초 발생 이후 경과 시간 |
Last | 가장 최근에 발생한 이벤트의 경과 기간 |
MLOps Management
Menubar > MLOps
MLOps Group List
MLOps Group 목록을 보여줍니다. 화면 상단의 [검색] 을 통해서 MLOps Group을 검색합니다.
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MLOps Group 이름 | MLOps Group 이름을 표시합니다. |
체크박스 |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멀티 삭제합니다. |
즐겨찾기 | 즐겨찾기 추가/선택합니다. |
설정 | MLOps Group 수정 및 삭제합니다. |
MLOps 정보 | MLOps Group에 속해있는 MLOps의 이름과 ON/OFF 상태를 표시합니다. |
생성자 | MLOps Group을 추가한 생성자를 표시합니다. |
생성 시간 | MLOps Group 생성 일자와 경과 시간을 표시합니다. |
Create MLOps Group
화면 상단의 [추가] 버튼을 통하여 신규 MLOps Group을 생성합니다.

Delete MLOps Group
앱의 오른쪽 상단 설정메뉴의 [삭제] 버튼을 통해서 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.

MLOps List
MLOps 목록을 보여줍니다. 화면 상단의 [검색] 을 통해서 MLOps를 검색합니다.

MLOps의 일부 기능(학습)은 GW플랫폼에서 지원하는 Tabular-ML 및
Vision-ML을 연동하여 사용합니다.
해당 앱이 플랫폼에 설치 되지 않은
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
Create MLOps
MLOps생성은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MLOps Types
MLOps의 유형을 선택합니다.
-
학습: 학습 -> 모델 배포 -> 서비스 배포 (Operation) 순서로 진행합니다.
-
배포: 신규 모델이 배포되었을 때, 서비스를 신규 모델로 배포합니다.
-
수집: 서비스(Operation)에서 이미지를 수집하여 Vision-DS의 데이터 셋을 생성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데이터 유형 | Tabular / Vision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|
앱 | MLOps작업이 진행 될 앱을 선택합니다. |
MLOps명 | MLOps 이름을 부여합니다. |
Schedule
MLOps의 스케쥴을 설정합니다. 스케쥴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
batch: 특정 시간 / 주기 별로 MLOps를 동작합니다.
-
Trigger: datahub에 데이터가 추가되었을 때, 동작합니다.
Batch 유형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Schedule 유형 | batch / trigger를 선택합니다. |
Schedule 표현 | Cron 형태로 schedule을 등록합니다. |
Trigger 유형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기간 | 설정된 시작시간 / 종료시간 에만 유효하도록 설정합니다. |
유형 | Trigger의 종류를 선택합니다. 현재는 Datahub만 지원합니다. |
데이터 허브 | 변화를 추적할 Datahub의 DataSet을 선택합니다. |
간격(ms) | 확인 주기를 설정합니다. |
DataSet
MLOps의 학습에서 사용할 데이터셋을 선택합니다. datahub , database (tabular만 지원) , nifi (tabular만 지원) 선택합니다.
Datahub 유형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데이터 허브 | 데이터 허브에서 가져올 데이터셋을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| 데이터 검증여부를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타입 | 데이터 검증 타입을 설정합니다. |
Nifi App | Nifi App을 설정합니다. |
Nifi ProcessGroup | Nifi ProcessGroup을 설정합니다. |
Parameter | Parameterd의 이름과 값을 설정합니다. |
Database 유형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DB연결정보 불러오기 | DB연결 메뉴에 추가되어있는 DB연결정보를 불러옵니다. |
데이터베이스 유형 |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설정합니다. |
데이터베이스명 | 데이터베이스명을 설정합니다. |
URL 주소 | URL 주소를 설정합니다. |
포트 | 포트를 설정합니다. |
사용자명 | 사용자명을 설정합니다. |
암호 | 암호를 설정합니다. |
쿼리창 | 테스트 쿼리 작성 후 연결 버튼을 클릭하여 연결 테스트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| 데이터 검증 여부를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타입 | 데이터 검증 타입을 설정합니다. |
Nifi App | Nifi App을 설정합니다. |
Nifi ProcessGroup | Nifi ProcessGroup을 설정합니다. |
Parameter | Parameterd의 이름과 값을 설정합니다. |
Nifi 유형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Nifi App | Nifi App을 설정합니다. |
Nifi ProcessGroup | Nifi ProcessGroup을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| 데이터 검증 여부를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타입 | 데이터 검증 타입을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Nifi App | 데이터 검증 Nifi App을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Nifi ProcessGroup | 데이터 검증 Nifi ProcessGroup을 설정합니다. |
데이터 검증 Parameter | 데이터 검증 Parameterd의 이름과 값을 설정합니다. |
Training
Tabular type
학습 모델을 선택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실험실 | Tabular-ML앱의 실험실을 선택합니다. |
평가기준 | 학습 완료 후 모델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선택합니다. (R2, Mae, Mse, Rmse) |
조건 | 선택한 평가기준의 MIN , MAX를 선택합니다. |
모델 목록 | MLOps에서 학습할 모델을 선택합니다. |
Vision type
학습 모델을 선택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실험실 | Vision-ML앱의 트레이너를 선택합니다. |
Trainer 목록 | MLOps에서 학습할 모델을 선택합니다. |
Push
학습된 결과(Score)가 기존 모델보다 좋을 경우, 모델을 Modelhub에 push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push | 모델 Push여부를 선택합니다. |
모델허브 | 신규 생성된 AI 모델을 Push할 Modelhub의 AI 모델 이름을 작성합니다. |
강제 업데이트 | 학습된 결과(Score)와 상관없이 무조건 모델을 Push합니다. |
Deployment
Modelhub에 Push된 AI 모델을 Operation Routine에 배포합니다.

필드명 | 설명 |
---|---|
push | 모델 Push여부를 선택합니다. |
모델허브 | 모델을 Push할 모델허브의 이름을 작성합니다. |
Run MLOps
MLOps 목록에서 현재 프로젝트 내의 MLOps 상태 및 로그를 확인합니다. [On/Off] 버튼을 통해 MLOps작업의 스케줄을On/Off 합니다.

MLOps Monitoring
대시보드에서 MLOps 별 간단한 작업 상태 및 로그를 확인합니다. MLOps 블록을 선택하여 보다 상세한 로그를 확인합니다.

색상 | 상태 |
---|---|
회색 | init |
파란색 | running |
초록색 | complete |
노란색 | pass |
빨간색 | fail |
MLOps Stage
MLOps를 선택하면 회차별 동작한 히스토리를 확인힙니다.

stage 히스토리를 선택하면 stage별 로그를 확인합니다.

Delete MLOps
[삭제] 버튼을 클릭하여 MLOps 작업을 제거합니다.

MLOps Group Edit
설정에서 그룹변경을 클릭하여 MLOps Group을 변경합니다.
